더 많은 도움을 드리기 위해

열심히 포스팅 중입니다!


지나가다 📢 광고 한 번 눌러주시면

더 좋은 글로 보답하겠습니다. 🥰

개발자

한국에는 네카라쿠배, 일본 개발자들의 1픽 기업은 어디일까? (글로벌 탑티어 개발 IT 회사 1)

평비(개취비) 2025. 1. 14. 23:44

 
 

👋 

안녕하세요~ 평비입니다!
네카라쿠배. 이 말도 철지난 말이긴 하지만, 아직까지도 개발자 사이에선 거론되는 기업들인데요. 한국은 알겠고, 다른 나라의 개발자들이 가고싶어하는 회사는 어떤 회사가 있을까? 하고 갑자기 궁금해지더라구요.
 
IT 강국으로써 어떤 나라들이 있는지 가볍게 보기 위해서 Chat GPT를 검색했습니다. 순위를 무시하도록 일부러 좀 더 섞어서 목록화했습니다. 😅
 

1. IT 강국 TOP 10 by Chat GPT

  • 일본 - 일본은 기술적으로 가장 앞선 국가로 꼽히며, 특히 로봇공학과 전자제품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여줍니다.
  • 이스라엘 - 스타트업과 혁신 기술 분야에서 급성장하고 있으며, 사이버 보안과 의료 기술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 싱가포르 - 동남아시아의 기술 허브로, 디지털 경제와 기술 인프라가 매우 발전해 있습니다.
  • 미국 - 미국은 구글, 애플, 페이스북과 같은 거대 IT 기업들의 본고장이며,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독일 - 유럽에서 가장 기술적으로 발전한 국가로, 특히 엔지니어링과 제조 분야에서 강세를 보입니다.
  • 영국 - 인공지능과 핀테크 분야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내며, 유럽에서 중요한 기술 강국 중 하나입니다.
  • 스웨덴 - IT와 통신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리더로, 여러 글로벌 기업의 본사가 위치해 있습니다.
  • 대한민국 - 삼성, LG 등 글로벌 기술 기업들이 위치한 한국은 기술과 혁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중국 - 기술 대국으로서 인공지능과 5G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 스위스 - 금융 기술과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0개 나라를 보면 대부분 IT 강국인 것만이 아니라, 글로벌 영향력이 큰 나라들이 IT 산업도 강하다는 걸 볼 수 있겠네요. 역시 IT 시대인 것 같아요... 모두 개발자 합시다! 👍
 

2. 국가별 Top IT 서비스 기업

일단, 국가별로 문화나, 상황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절대 100% 호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주세요! 😅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기업! 하면, 삼성, LG, SK, 현대와 같은 제조업 기반의 대표회사들이 있지만 네카라쿠배라는 말에는 이 회사들이 들어가지 않았어요. 즉, 매출이나 규모 등을 통한 랭크가 아니라는 것이고,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IT 서비스 기업 랭크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기준은 다음과 같이 정해봤습니다. 

  • 제조업 기반 회사 제외, 순수 IT 회사
  • 각 나라에서의 대표성이 있는 IT 서비스를 가진 회사
  • 웹/앱 SW 개발자에게 선호되는 IT 서비스 회사

 

3. 일본의 네카라쿠배

  • 라인(Line): 한국에서의 카톡! 일본 1위 메신저
  • 야후(Yahoo): 한국에서의 네이버! 일본 1위 포털 사이트
  • 라쿠텐: 한국에서의 쿠팡! 일본 1위 쇼핑몰. 회사 공용어는 영어라고 한다. 하지만, 보통 업무는 일본어.
  • 메루카리(Mercari): 한국에서의 당근마켓! 일본 1위 중고거래 플랫폼
  • 쿡패드(Cookpad): 글로벌 탑급 레시피 사이트. 한국에서라면... 네이버 블로그?!

 
📌 참고사항

  • 일본은 우리나라와 다른 문화적, 산업적 배경을 가지고 있어, IT 기업들의 선호도와 이미지에도 차이가 있어요.
  • 일본에서 IT 서비스는 대부분 우리나라의 SI 회사들처럼 제조업 기업과 분리되지 않고, IT, 개발 자체보다는 기획, 설계, 관리 등 큰 그림을 그리는 업무가 선호된다고 하네요!
  • 일본에서 선호되는 기업이라 하면, 대부분 제조업 회사라고 해요.
  • 우리나라에서 IT! 하면 네카라쿠배가 바로 떠오르지만, 일본에서는 IT! 하면 직접적인 코딩, 개발, 기술보다는 컨설턴트를 떠올린다고 하네요.
  •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이후로 최근에는 SW 엔지니어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해요...!!! 특히, 게임 업계 유니티 엔지니어, 백엔드/머신러닝 엔지니어.

 
 

 
3-1. 라인  (Glassdoor 기준 평점 3.9점. 동료, 팀은 좋지만 C레벨이 별로)

 

  • 설명: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신저 앱으로, 한국의 카카오톡과 비슷한 위치에 있습니다. 라인은 2011년 NHN 재팬에서 시작된 서비스로, 일본 내에서 특히 강력한 사용층을 자랑합니다.
  • 주요 서비스: 메신저, 라인 게임, 라인 뮤직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
  • 기업 문화: 글로벌 기업으로,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지만, 일본어로 업무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글로벌 확장을 목표로 다양한 국가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IT 서비스: 일본에서의 IT 시장에서 서비스 기획 및 관리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코딩, 개발 업무보다는 기획, 분석,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3-2. 야후 (Glassdoor 기준 평점 3.6점. 급여는 낮지만 워라벨 좋음)

 

  • 설명: 일본에서의 포털 사이트 1위로, 한국의 네이버와 비슷한 위치에 있습니다. 1996년 미국의 야후와 제휴하여 시작되었으며, 이후 일본 내에서는 독립적인 브랜드로 자리잡았습니다.
  • 주요 서비스: 검색, 뉴스, 쇼핑,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포털 서비스를 제공.
  • 기업 문화: 일본 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포털 중 하나로, 다양한 IT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일본 내의 전통적인 IT 서비스 모델을 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 IT 서비스: 포털과 관련된 기술적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기술보다는 기획, 관리, 전략 업무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3-3. 라쿠텐  (Glassdoor 기준 평점 3.7점. 급여는 낮지만 워라밸, 복지, 동료 등 나머지가 좋다)

 

  • 설명: 일본의 1위 쇼핑몰로, 쿠팡, 아마존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기업입니다.
  • 주요 서비스: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테크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커머스 서비스 등.
  • 기업 문화: 회사의 공용어는 영어이지만, 실제 업무는 일본어로 진행됩니다. 라쿠텐은 글로벌 확장과 기술 혁신을 목표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IT 서비스: 라쿠텐은 전자상거래 시스템 개발, 고객 관리 및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기술적 분야에서 활동하지만, 최근에는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전략적 기획과 관리 업무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3-4. 메루카리 (Glassdoor 기준 평점 3.4점. 모두 좋지만, C레벨이 별로)

 

  • 설명: 일본의 1위 중고 거래 플랫폼으로, 한국의 당근마켓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메루카리는 2013년에 설립되어 빠르게 성장한 기업입니다.
  • 주요 서비스: 중고 물품 거래 플랫폼.
  • 기업 문화: 일본의 중고거래 문화와 맞물려 빠르게 성장하며, 기술적 혁신보다는 사용자 경험(UX) 개선과 마케팅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IT 서비스: 메루카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중요한 요소로 삼고 있지만, 서비스의 성공은 대부분 마케팅과 UX/UI 설계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3-5. 쿡패드 (Glassdoor 기준 평점 4.0. 문화는 별로지만 팀과 환경이 좋다)

 

  • 설명: 세계적으로 유명한 레시피 공유 사이트로,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 관련 커뮤니티입니다.
  • 주요 서비스: 레시피 공유, 요리 관련 콘텐츠 제공.
  • 기업 문화: 쿡패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을 목표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레시피 커뮤니티 및 요리 콘텐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IT 서비스: 기술보다는 콘텐츠 기획 및 관리, 사용자 커뮤니티 관리에 더 중점을 두고 있으며, 개발 업무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총평

Glassdoor 평점 기준
쿡패드(4.0) - 라인(3.9) - 라쿠텐(3.7) - 야후(3.6) - 메루카리(3.4)
 
최저 계약(base)연봉 기준
메루카리(6.9) - 라인(6.0) - 쿡패드(5.6) - 야후(4.5) - 라쿠텐(4.2)

한창 네카라쿠배 유행할 때 연봉 기준으로 이야기 나왔던 거 같은데 메라쿡야라? MLCYR? ㅋㅋㅋㅋ 😆
 
 
 

👏

자, 이렇게 일본의 네카라쿠배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기업 문화, 선호되는 직무가 크게 다르네요. 확실히, 우리나라와의 IT 서비스 시장과는 좀 다른 느낌이 있는 것 같아요. 일본의 IT 기업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이 기업들의 특성과 문화를 잘 이해하고, 기획 및 관리 업무 커리어를 쌓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그렇다면... LG C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