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평비입니다!오늘은 많이 혼동하시는 동기/비동기와 블로킹/논블로킹 개념에 대해서 나름(?) 자세하게 준비한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쉽게 표현하자면 내가 일을 시키는 입장이라고 해볼게요.블로킹/논블로킹은 내 일이 중단되는지동기/비동기는 시킨 일의 상황을 신경쓰는지 1. 블로킹/논블로킹 위의 도식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왼쪽 동작은 송금, 오른쪽 동작은 비밀번호 찾기 상황입니다. 송금 프로세스는 내부적으로 잔고 확인과 이체 로직이 있습니다. 이 로직들은 블로킹 로직입니다. 송금 프로세스 입장에서, 잔고 확인을 하는 동안 다음 동작이 중단되고, 이체를 하는 동안 다음 동작이 중단됩니다. '송금 프로세스 내부에 블로킹 로직이 있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찾기 프로세스에서 인증 번호 ..